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신규 스토리지 도입과 Raid6
    IT기술 2021. 2. 14. 18:00

    #Dell EMC Unity XT 도입

    회사에서 주로 도입하는 스토리지는 IBM V시리즈를 주로 사용했고, NAS로는 거진 NetApp 장비를 도입했다.

    하지만 이번에 무슨일인지 IFRS17 NAS로 Dell EMC 장비(Dell EMC Unity XT)를 도입했다.

     

    제조사마다 특징이 있고, 강점이 있다지만 결국 도입하고 운영하다보면

    크게 와닿는 특징은 잘 보이지 않는다.

     

    운영자 입장에서는 Disk fault가 나지 않고, 장애가 나지만 않으면 된다.

    (이렇게 나도 고인물이..?)

     

    매번 다른 버전의 다른 제조사의 관리콘솔 화면기능에 적응하는 것도 일이다.. 싶지만서도,

    인프라 관리자의 숙명이지 않을까싶다.

     

    #스토리지 용량관리

    각 스토리지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필수내용이 physical 용량, usable 용량, raid 구성이다.

    계산을 통해 명확한 숫자가 딱 떨어지면 좋겠지만, 항상 계약서와 구축 후 GUI에서 보이는 usable 용량의 수치는

    다르다. 이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지만, 이제 어느정도 내려놓은 상태다.

    구축 엔지니어에게 문의할때마다, 디스크 용량, 각 제조사의 raid 구성 등이 달라서 어쩔 수 없다는 답변.

     

    이번에 도입된 디스크는 Raid6로 구성되었다.

     

    #Raid6

    - double parity 사용하기 때문에 disk가 2개까지 fault나도 운영가능

    - double parity의 내부 알고리즘이 Raid5 (Single parity)보다 복잡하므로 성능이 다소 떨어짐

    - (n-2) * disk 용량을 사용가능

    이번 스토리지에는 2개의 Disk를 Spare disk로 잡았다.

     

    # NFS, Volume

    리눅스 서버와 윈도우 서버에서 각각 영역할당이 필요하여 NFS와 Volume을 나눠서 따로 할당하였다.

     

    - NFS (Network File System) 주로 Linux 에서 사용된다.

    1) 스토리지에서 NFS 구성

    2) Linux에 붙일 폐쇄망 IP 할당

    3) Mount Point 생성 및 NFS Mount

    4) fstab 설정 (별도 설정이 필요없지만, 안정적인 NAS 기동을 위해 fstab에 NAS경로 추가를 권장)

     

    - CIFS (Common Internet File System) 주로 윈도우 서버에서 사용된다.

     

    'IT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tty 화면설정  (0) 2022.05.18
    Docker, Container, VM과 차이  (0) 2021.08.16
    Telegraf influxDB Grafana (2)  (1) 2021.07.29
    Telegraf influxDB Grafana  (0) 2021.07.26
    IPMI  (0) 2021.03.06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