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lan과 TruncIT기술 2022. 5. 23. 15:52
why vlan? 모든 대역의 IP 패킷정보를 갖는 데이터를 Switch에서 제어하면 switch의 부하가 늘어난다.
switch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vlan으로 IP를 묶어서 관리한다.
모든 client에 대해 데이터를 쏠 필요가 없이 vlan 설정된 client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면 되기 때문.
What is Trunc? vlan이 없는 데이터는 "Default vlan1 | Mac Address | IP " 의 형태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Native vlan 환경에서만 통신이 가능함.* Native vlan : Default vlan으로 별도의 vlan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 (Default vlan = 1)
vlan 설정이 된 데이터는 " vlan | Mac Address | IP " 의 형태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vlan 설정이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switch에 Trunc mode 설정이 필요하다.
Trunc mode가 설정된 switch에서는 vlan 정보를 소유하고 있으며,
vlan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한다.
Trunc mode disable 상태에서는 vlan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다.
NW Port Mode 1. Dynamic mode
Cisco only mode로 사용자가 별도 지정 없을때 Default로 설정되는 Mode2. Static mode
- Access mode : Port에 지정한 vlan만 통신을 허용함 (단수의 vlan)
- Trunk mode : 장비에 설정된 모든 vlan 통신을 허용함 (복수의 vlan)
- Trunk mode를 지나가는 모든 데이터는 vlan 정보(Tag)를 보유
'IT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Javascript+CSS 기본 실습 (0) 2025.03.24 DB Migration (MariaDB to MSSQL) (0) 2025.03.14 Putty 화면설정 (0) 2022.05.18 Docker, Container, VM과 차이 (0) 2021.08.16 Telegraf influxDB Grafana (2) (1) 2021.07.29